관계수업(6)
-
[추천도서] 공감을 얻는 대화의 기술
말 한 마디에 천 냥 빚을 갚는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왜 내가 말을 하면 싸움이 될까요? 내가 A를 말할 때 상대방도 A로 이해하는 대화의 기술이 필요한 여러분에게 추천하는 도서입니다. [대화의 신] 토크계의 전설 래리 킹에게 배우는 말하기 비법 (위즈덤하우스, 래리 킹 지음) 모든 관계를 성공적으로 끌어가는 핵심은 '말'전설이라 불리는 래리 킹조차 처음 라디오 쇼를 진행할 때 방송 시작 몇 초간 아무런 말도 하지 못해 방송 사고가 발생할 뻔한 적이 있습니다. 그 모든 상황을 헤쳐나올 수 있었던 것은 '자신의 상황을 솔직하게 표현'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살면서 사람과의 관계, 상황에서 대화로 풀어나갈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수많은 사람과 대화하며 얻은 경험담을 통해 '말 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2015.07.21 -
진심을 듣기 위해 피해야 할 행동 4가지
진심을 듣기 위해 피해야 할 행동 4가지 불편한 상대방을 점잖게 대해주는 것이 상대방의 진심을 듣기 위한 것은 아닙니다. 물론 아끼는 사람을 배려하고 사랑으로 챙겨주는 일이 나쁘지다는 것 또한 아닙니다. 남의 비판을 받아 들인다는 것은 상대의 말 때문에 화가 나든 혹은 그 비판이 부당하다고 여겨지든 거기서 일말의 진실을 찾아준다는 것입니다. 인간관계 회복 전문가 데이비드 번즈 박사는 상대방의 진심을 듣기 위해 피해야 할 행동을 4가지로 정리합니다. 1. 상대방의 말에서 일말의 진실을 찾아내지 못한다 가장 흔한 잘못은 이것입니다. 자신의 생각이 상대방과 다르고 사태 판단이 분명하지 못하여 마음이 흐려진 탓에 상대방의 눈으로 상황을 바라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죠. 상대의 비판이 워낙 혹독하거나 수치스러워..
2015.05.09 -
[추천도서] 인간관계에 도움이 되는 추천도서
인간관계에 도움이 되는 추천도서 4종 [관계 수업] "진정한 행복은 인간관계에서 시작된다!"불편한 인간관계는 우리를 갉아먹습니다. 우리는 대부분은 자기 가치관을, 최소한 어느 정도는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찾습니다. 아끼는 사람과 다투고 싸우는 일은 결코 즐겁지 않을테죠. 그 사이 갉아먹는 에너지와 빼앗기는 기쁨이 생기지 않던가요? 인간관계가 불편해서 속을 앓는 분에게 을 추천합니다. 관계 수업 - 데이비드 D. 번즈 지음, 차익종 옮김/흐름출판 [나는 외롭다고 아무나 만나지 않는다] "당신은 지금도 충분히 괜찮은 사람이다."사람과 사람 만남에는 법칙이 없지만, 관계에 있어서는 법칙이 있습니다. 관심받고 싶고 인정받고 싶은 마음, 그 마음을 얻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관계'와 '사랑' 사이..
2015.05.08 -
인간관계 갈등을 유발하는 10가지 사례
우리는 이야기를 할 때 상대방을 왜곡하는 것에 집착한다. 분노와 짜증의 대상이 되는 사람을 경멸하면서 쾌감을 느끼고, 자기가 도덕적으로 우월하다는 느낌도 받는다. 그러니 상대방에 대한 자신의 시선이 왜곡되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는다. 인간관계 갈등을 유발하는 인지 왜곡 10가지를 정리 해보자. 사례1. '전부 아니면 전무'라는 사고 「갈등이 있거나 불편한 상대가 있을 때, 이를 철저히 흑과 백으로 극단화 한다. 중간 지대는 존재할 수 없다.」 ▶ 나를 화나게 하는 사람이 있을 때, 저 사람은 인정할 만한 구석이 전혀 없는 빵점짜리라고 여긴다. 혹시 관계가 깨지면, 전혀 복구할 수 없이 끝났다고 생각해버린다. 사례2. 지나친 일반화 「어떤 문제가 생기면, 이전의 분노, 갈등, 패배가 또다시 되풀..
2015.05.08 -
의사소통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 8가지
의사소통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 8가지 인간관계에 있어 문제점은 상대방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보다 나은 인간관계를 원한다면 자신이 상대방에게 어떤 반응을 했는지를 돌아보며 비판의 눈을 자신에게 돌려야 한다. 인간관계 회복 전문가 데이비드 박사가 말한 '의사소통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 목록은 자신의 잘못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우리가 의사소통에서 흔히 범하는 오류는 무엇일까? 1. 진실 따지기 자기가 옳고 상대방은 틀렸다고 생각한다. 자기의 태도나 행동이 상대방에게 부정적이고 비판적이거나 마뜩지 않아하는 것 같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관계가 원만치 않다는 것도 인정하지 않는다. 2. 탓하기 상대방을 탓한다. “난 할 만큼 하고 있어”라고 말하는 것은 상대방과 잘 지내기에 아주 힘든 사람이라는 뜻..
2015.05.07 -
좋은 의사소통의 3가지 요소
좋은 의사소통의 3가지 요소 좋은 의사소통은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잘 귀담아듣기(공감), 효과적인 자기표현(주장), 존중하기다. EAR라는 약자로 기억해두도록 하자. E는 공감Empathy, A는 주장Assertiveness, R은 존중Respect이다. 나쁜 의사소통은 귀담아듣지 않기, 자기감정 나타내지 않기, 배려나 존중심을 보이지 않기 등이다. 공감 공감이야말로 좋은 의사소통의 첫째 특징이다. 공감이란 다른 사람의 눈으로 세상일을 듣고 보려는 태도를 뜻한다. 상대방의 비판이 부당하고 상대방의 관점이 자신과 다를지언정, 그 사람의 말에서 일말의 진실을 찾아내는 것이다. 또 상대방의 말에 입각해서, 그 사람의 생각과 감정을 인정해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귀담아듣는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 대부..
201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