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12)
-
때로는 행동보다 말이 더 강력한 이유
행동보다 말이 더 강력할 수 있다 부러진 뼈는 몇 달 지나면 치료될 수 있지만 모진 말은 평생 치유되지 않는 생채기를 가슴에 남길 수 있다. 우리가 듣는 대부분의 말은 실제로 우리 내면에서 계속 울림을 갖는다. 당신이 대체로 말수가 많은 사람이 아니라 해도, 당신의 마음은 끊임없이 재잘거리고 있다. 만일 스스로한테 "넌 쓸모없는 인간이야" 와 같은 불친절한 말을 하면 고통스러울 것이다. 반대로 “그거 잘했어!" 와 같은 좋은 말을 하면 행복할 것이다. 말이 경험을 만든다. 자애명상(자신이나 타인 등 자비를 베풀 대상을 떠올리며 그의 안위와 행복을 축원하는 마음을 보내는 명상)에서 주의집중의 초점으로 말을 활용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네 가지 자애문구는 모두 광범위한 인생 경..
2019.07.15 -
우리는 거주지를 어떠한 생각으로 고를까?
사람들이 거주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장소는 천차만별이지만 놀랍게도 서식지 선택에 관한 가장 중요한 몇 가지 증거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나왔다. 인간은 간단한 자기평가(그냥 질문하기!)부터 다양한 장소를 접할 때의 생리적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까지 갖가지 실험방법으로 한 유형의 장소를 다른 유형보다 선호하는 것까지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이 특정 자연경관을 선호한다는 사실은 고대부터 철학자, 예술가, 지리학자, 조경사, 심리학자 등 많은 전문가의 관심을 끌어왔다. 미국의 지리학자 제이 애플턴Jay Appleton은 권위 있는 저서 《풍경의 경험 he Experience of Landscape》에서 이런 초기의 관심사를 총망라했다. “보는 것이지 보이는 것이 아니다” 새와 도마뱀, 기타..
2018.09.14 -
청중이 집중하는 원고를 쓰는 팁
발표를 진행할 때 1분 40초 분량의 원고를 아나운서가 읽다가 시간이 모자라 마지막 10초 분량을 못 읽는 일도 자주 있습니다. 그래서 바로 리드가 필요한 것이죠. 서두에 "OO에 대한 이야기입니다."하고 말해두었으니 일단 꼭 전해야 할 것은 전한 것입니다. 외부에서 보고나 프리젠테이션을 할 때도 중요한 요소부터 이야기하면 언제 발표가 멈추더라도 핵심 내용은 모두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방송 원고와 신문의 철칙 중 하나는 "역삼각형으로 써라."입니다. 분량이 아니라 내용의 중요성이 큰 것부터 써내려가라는 뜻입니다. 1. [리드] 이런 일이 있었다. 2. [본 내용] 자세한 내용은 이러저러하다. 3. [이유 및 원인] 어떠하기 때문이다. 4. [전망] 이렇게 할 것이다. 5. [에피소드]..
2015.08.12 -
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들 3가지
이제부터 이야기 할 주제는 좀 지루할 수도 있습니다. 앉은 자리에서 몸을 꼬게 만들 이야기들이니까요. :) 우리는 불편할 때 그런 반응을 내보입니다. 불편함은 두려움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먼저, 주제가 무엇인지부터 살펴 볼까요? 변화 많은 사람이 변화를 좋아하지 않지만, 그것을 피할 수는 없습니다. 습관은 편하고 안전한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죠. 권력 많은 사람이 권력을 강제력으로 오해하고 두려워합니다. 권력을 쥔 사람조차 그것에 대해 논의하기를 불편해 합니다. 권력에 대한 두려움은 우리 자신이 상대에게 또는 상대가 우리에게 권력을 잘못 휘두를 가능성이 있다는 걱정에서 비롯됩니다. 성 누구든 남녀 차이를 논의하는 데 물릴 대로 물렸겠지만 근본적 쟁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습니다...
2015.07.13 -
나를 두렵게 만드는 6가지 잘못된 믿음
우리는 매일 스스로 진실을 확인하지 않은 탓에 속으로는 두려움에 떨고 있습니다. 두려움이 없는 사람은 없지만, 진실을 확인하고 자신의 잘못된 믿음이 무엇인지를 알게 될 때 스트레스와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다음의 여섯 가지 잘못된 믿음들은 널리 퍼진 거짓들을 통해, 삶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얼마나 무지한지를 잘 알려줍니다. 우리를 두렵게 만드는 그 '무언가'는 실은 특정한 사회적 통념에 따라 살아가기로 결정한 우리의 마음에 지나지 않음을 알게 될 것입니다. 이런 사회적 통념은 겉으로는 가치 있어 보이지만 결국에는 우리를 두려움의 노예로 만들어버립니다. 사회적 통념 같은 조건화된 믿음들이 부정적인 상태에 사로잡히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 우리의 권리를 어떻게 빼앗아가는지를 이해하면 그만큼 두려움에서 ..
2015.06.23 -
두려움을 버리는 3가지 지혜
위대한 대상을 모방하면 두려움이 생겨난다. 하지만 두렵더라도 용기를 내서 자기다워지면 우리가 알고 싶어 하는 위대한 대상의 특질이 내면에서 깨어난다. 우리의 자의식을 위협하는 원치 않는 사건이 일어났다고 생각 해보세요. 우리는 이런 사건을 두려워하며 살아갈 수도 있고, 이 사건을 자유로워지는 계기로 삼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거짓된 자기의 눈으로 이런 사건들을 바라보게 됩니다. 그런데 거짓된 자기는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것이 두려움 없는 삶의 비결이라고 착각하게 됩니다. 이것은,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곧 문제를 극복하는 길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를 두렵게 만드는 것들을 해결할 다른 방법은 무엇일까요? 두려움의 본질을 분명하게 알면 두려움이 어..
2015.06.16